728x90 기타10 의료관련감염 역학조사(CRE, CPE) ■ 1. 역학조사 대상 및 시행 기준은 무엇인가요? ▶ 의료기관 내 역학적 연관성이 확인된 CPE 감염증 환자 또는 병원체보유자가 2명 이상 집단발생하여 시・도에서 역학조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CPE 감염증 집단발생 인지 후 지체 없이 실시합니다. 또한 의료법에 따라 의료인 또는 의료기관의 장이 요청하는 경우에도 근거법령 「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」 제18조의2(역학조사의 요청)에 따라 역학조사를 실시할 수 있습니다. ■ 2. 능동감시 시행 및 결과에 따른 관리는 어떻게 하나요? ▶ 중환자실의 경우 입실 및 1주일 간격으로 능동감시를 시행합니다. 입원 즉시 시행한 능동감시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는 잠정적인 항생제 내성균 감염자로 간주하고 접촉주의를 적용합니다. ▶ 중환자실에서 타 .. 2023. 3. 8. CRE 감염증, VRSA 감염증 관련 자주 묻는 질문 ■ 1. 접촉자 능동감시 결과 CRE가 분리된 경우, 신고해야 하나요? ▶ 예, 신고대상 입니다. 제2급감염병인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속균종(CRE) 감염증은 검체 종류 및 입원 유무 등과 관계없이 CRE가 분리된 경우 감염병 발생신고 대상입니다. 기존 신고 환자를 반복적으로 신고할 필요는 없으며, CRE 분리균 및 카바페넴분해 효소가 변경된 경우, 혈액검체에서 새롭게 CRE가 분리되는 경우는 발생신고 없이 CRE 감염증 사례조사서를 추가 작성하면 됩니다. ■ 2. CRE가 확인되었다면 카바페넴분해효소생성(CPE) 검사를 추가적으로 해야 하나요? ▶ CRE가 확인 된 경우, 카바페넴분해효소생성(CPE) 여부 확인 후 추가 신고해야 합니다. 예외적으로, CRE 감염증 기 신고자에 대해 추가 신고기준에 해당하지.. 2023. 3. 8. 보건복지부 의료비 지원사업 예시(2022.1. 현재) ※ 아래 지원사업 외 국가‧지방자치단체의 의료비 지원제도가 있을 수 있음에 유의 연 번 사업명 사업개요 대상 국가지원금 중복확인 처리방법 1 암환자 의료비 지원사업 ‧저소득층 소아, 성인 암환자 의료비지원 - 성인: 최대3백만원(본인부담) - 소아: 최대3천만원(백혈병) ‧성인암(건보료 직장 110,100원, 지역 104,500원 이하) ‧소아암(중위소득 120% 이하) 수기입력* 2 희귀질환자 의료비지원사업 ‧저소득 희귀질환자 의료비 지원 ‧중위소득 일정수준 이하 전산조회** (급여제외)*** 3 긴급복지 의료비지원 (지자체) ‧중한 질병 또는 부상으로 의료비를 감당하기 곤란한 사람 지원 (300만원 1회 지원원칙) ‧중위소득 75% 이하 전산조회 4 장애인 의료비 지원 ‧의료급여 차상위 장애인 의료비.. 2023. 3. 7. 병원평가통합포털 서비스 오픈(2023.3.3.) 국내병원 평가정보 한 곳에! 「병원평가통합포털」 - 심평원, 국가 의료 질 평가 통합 정보제공 플랫폼 오픈 - □ 건강보험심사평가원(원장 김선민, 이하 ‘심사평가원’)은 6일 국내 병원평가정보를 통합 제공하는 「병원평가통합포털」서비스를 시작한다. * 병원평가통합포털 주소: 병원평가통합포털 국내 병원 평가정보를 한 눈에 확인하세요 ap.hira.or.kr □ 「병원평가통합포털」은 의료 질 관련 평가정보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통합 평가정보 제공시스템으로 국민이 다양한 평가결과와 평가지표정보를 한 곳에서 조회하고 활용할 수 있게 구축됐다. ○ 심사평가원에서 수행하고 있는 평가와 더불어 ▲의료기관평가인증원의 의료기관인증평가 ▲국립암센터 중앙호스피스센터의 호스피스전문기관지정평가 정보를 제공한다. * (심사평가.. 2023. 3. 3. 이전 1 2 3 다음 728x90